2024/05/20 2

왜 광개토대왕릉비문 경자년조는 절반이나 지워졌는가?

광개토대왕릉비는 400년에 지역명칭으로서의 왜 즉 열도 백제인의 공격을 격퇴한 사실을 기록하고 있는데 400년 기사 199자 중 절반이 지워져 있다. 2면 9행 윗부분 9자가 연속하여 지워졌고, 2면 10행과 3면 1행은 거의 완전히 지워졌다. 3면 2행부터 6행까지 윗부분 약간이 지워졌는데 이는 3면 1행이 자연스럽게 지워진 것처럼 보이기 위해 일부러 지운 것이다. 3면 2행부터 7행까지 아랫부분이 지워졌는데 이는 3면 1행이 자연스럽게 지워진 것처럼 보이게 하고 407년의 기사를 지우기 위함이다. 광개토대왕릉비에서 판독이 안 되는 글자 대부분이 2면 9행 10행과 3면 1행에서 7행까지에 있다. 이는 인위적으로 글자가 지워졌음을 의미한다. 일제유사사학이 400년 기사를 지운 것은 광개토대왕의 열도 정..

역사 2024.05.20

광개토대왕릉비 기해년 문장의 날조

기해년 문장의 날조기해년 문장도 날조되어 있는데 원래의 문장은 다음과 같다. 九年己亥 百殘違誓 與倭和通 王巡下平穰 而新羅遣使白王云 “倭人滿其國境 潰于城池 以奴客爲民 歸王請命” 太王(喜後) (稱)其忠□ □遣使還告以□計 ‘潰于城池’가 ‘潰破城池’로 날조되어 있고, 喜後가 지워져 있다. 날조를 바로잡아 해석하면 「영락 9년 기해년에 백잔이 맹세를 어기고 왜와 내통하였다. 왕이 평양으로 순시하자 신라가 사신을 보내 왕께 아뢰기를 “왜인이 그 국경에 가득 차 있다가 성지(城池)에서 도주하여, 신이(노객은 신라왕이 광개토대왕에게 신하임을 자처하는 말임) 그들을 백성으로 삼았습니다. 왕께 보고하여 명을 청합니다.”라고 하였다. 태왕은 (기뻐한 후) 그 충성심을 (칭찬하고), 신라 사신을 돌려보내어 지시사항을 알리게 ..

역사 2024.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