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01 2

安平樂未央과 長樂未央

강단유사사학은 단동에서 발굴된 기와에 ‘安平樂未央(평안함과 즐거움이 다하지 않기를)’이라는 문구가 발견되기 때문에 단동을 서안평이라고 하면서, '서안평에서의 즐거움이 다하지 않기를' 이라는 의미라 주장한다. [https://db.history.go.kr/ancient/level.do?levelId=gskh_007_0040_0010_0090_0020] 林起煥安平 註 001 樂未央 註 002 安平 註 001 樂未央 註 002db.history.go.kr​기와의 길상구를 지명으로 전환하는 유사사학자들의 천재성은 유사역사학계에 길이길이 남을 것이다. ​그리고 강단유사사학은 여대(旅大)에서 출토된, ‘長樂未央’명 와당에선 여대를 장이라는 도시로 보지 않고, 長樂未央(늘 즐거움이 다하지 않기를) 전체를 길상구로 본..

역사 2024.06.01

후한의 고구려에 대한 조공 중단 후

후한의 조공 중단으로 전쟁 발생전술하였듯이 대무신왕과 유수는 1세기 전반 낙랑군을 두고 1승 1패를 하였고, 모본왕은 CE 49년부터 후한으로부터 조공을 받았다. 후한이 중기에 접어들며 초기 시행했던 북방예산을 조달하지 못하자 후한에 대한 불만으로 전쟁이 시작되었다. 漢의 조공이 중단되자 105년 침입하였다.고구려가 111년 토산물을 바치고 현도에 속하기를 구했고, 침입하였다는 것은 漢이 조공을 재개하라 요구한 것이고, 漢이 거부하자 바로 현도를 공격하였다는 것이다. 김부식은 이러한 전후관계를 이해하지 못했으므로 어느 하나가 잘못이라 판단하였다. 조공을 받지 못한 오환선비는 121년의 공격처럼 고구려와 공동작전도 하였다. 고구려는 후한과 주로 현도군을 두고 싸웠다. 현도군이 가장 국경과 가까웠고, 요동군..

역사 2024.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