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17

똥이 된장되는 강단유사사학 (11. 일본 ≠ 왜 대왜 대화)

1. 일본서기 왜 대왜 관련 부분의 왜와 일본천황의 관계 ​ㅇ 신무의 동쪽 정벌: 적들에 의해 길이 막히자, 제사를 지냄 날짜(신무 즉위전기) B.C.663년 9월 5일 9월 갑자삭 무진(5일)에 천황이 토전의 고창산(高倉山;타카쿠라야마) 꼭대기에 올라가서 나라 안을 바라보았다. --- 적의 거점은 다 중요한 땅이었다. 그래서 길이 차단되어 지나가려해도 방법이 없었다. 천황은 이런 상황이 싫어 그날 저녁 신(神)의 뜻을 알려 달라고 빌고 잤다. 그러자 꿈에 천신(天神)이 나타나서--- 천황이 삼가 꿈의 가르침을 받들어 그대로 실행하려고 하였다. 그때 또 제활이 “왜국(倭國)의 기성읍(磯城邑)에는 기성(磯城)의 팔십효수(八十梟師)가 있고 또 고미장읍(高尾張邑;타카워하리노무라)[어떤 책(或本)에서는 갈성읍(..

역사 2023.03.16

한국인의 기원 지역

1. 강단유사사학 동이족은 중국의 서북부에서 수렵생활을 하다가 동으로 이동해, 한 줄기는 산동반도(山東半島) 방면으로, 다른 한 줄기는 다시 동으로 나와 만주·한반도 일대에 분포하였다고 주장하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 東夷 설명 (2022.1.14. 현재),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데이터베이스(http://db.history.go.kr) 『후한서』 「동이열전」 ‘夷’에 대한 주석 (2022.1.14. 현재) “東夷는 원래 중국의 서북부에 있다가 동쪽으로 이동, 한 갈래는 山東半島 쪽으로 들어가고, 다른 한 갈래는 다시 東進, 渤海灣을 따라서 遼東 지방을 거쳐 韓半島에 들어오게 된 것이다.(金庠基,「韓·濊·貊 移動考」)” 동이의 기원이 한반도임을 부정한다. ..

역사 2023.03.14

북사의 수수께끼

북사 신라전 ​ 或稱魏將毋丘儉討高麗破之, 奔沃沮, 其後復歸故國, 有留者, 遂爲新羅, 亦曰斯盧. 其人雜有華夏·高麗·百濟之屬, 兼有沃沮不耐·韓·濊之地. 其王本百濟人, 自海逃入新羅, 遂王其國. 初附庸于百濟, 百濟征高麗 不堪戎役, 後相率歸之, 遂致强盛. 因襲百濟, 附庸於迦羅國焉. ​ 한국사데이터베이스의 해석 1. 일설에 의하면 魏나라 장수 毋丘儉이 고[구]려를 토벌하여 격파하니, [고구려인들은] 沃沮로 쫓겨 갔다가 그 뒤 다시 고국으로 돌아갔는데, [이 때에 따라가지 않고] 남아 있던 자들이 마침내 新羅를 세웠다고 한다. [신라는] 斯盧라고도 한다. 2. 그 나라는 중국·고[구]려·백제의 족속들이 뒤섞여 있으며, 沃沮·不耐·韓·濊의 땅을 차지하고 있다. 그 나라의 王은 본래 百濟 사람이었는데, 바다로 도망쳐 신..

역사 2023.03.13

똥이 된장되는 강단유사사학 (10. 예의 위치=연제지간)

1. 사료 ​ (ㄱ) 『사기』 「평준서」 ​ 『사기』 「평준서」 自是之後,嚴助、朱買臣等招來東甌,事兩越,江淮之閒蕭然煩費矣。唐蒙、司馬相如開路西南夷,鑿山通道千餘里,以廣巴蜀,巴蜀之民罷焉。彭吳賈滅朝鮮,置滄海之郡,則燕齊之閒靡然發動。--- 其後漢將歲以數萬騎出擊胡,及車騎將軍衞青取匈奴河南地,築朔方。當是時,漢通西南夷道,作者數萬人,千里負擔饋糧,率十餘鍾致一石,散幣於邛僰以集之。數歲道不通,蠻夷因以數攻,吏發兵誅之。悉巴蜀租賦不足以更之,乃募豪民田南夷,入粟縣官,而內受錢於都內。東至滄海之郡,人徒之費擬於南夷。 ​ 이로부터 엄조 주매신 등은 동구를 끌어들이고 양월의 일에 개입하면서 강회지방이 소란스러워져 많은 군비가 소모되었다. 당몽과 사마상여는 서남이로 통하는 길을 열기 위해, 산을 뚫어 천여리에 달하는 길을 통하게 하여 파촉의 영역을 확대..

카테고리 없음 2023.03.12

나침반은 백제인들이 발명

강단·중제·일제유사사학은 백제유민을 신라인 당인 송상 왜구 등으로 변조하여 숨기고 있다. 중국 동해안의 해상세력이 백제유민인 것만 밝혀져도 그들 소설의 한국사 날조가 드러나기 때문이다. 백제유민 날조는 낙랑군 평양설, 후삼한 남한설과 같은 정도로 중요한 문제이다. 중국 동해안 백제가 부인되면, 번조선과 번한이 부인되고, 더 나아가 우리 민족의 역사강역 전체가 왜곡될 수도 있다. 백제유민의 역사는 결코 포기할 수 없는 한국사의 중요한 부분이다. ​ 김성호는 노 키 나침반은 백제가 발명했고, 백제가 1세기에 노·돛·키의 3요소를 모두 구비한 노형해선(櫓型海船)을 만들었다고 보는데, 노·돛·키의 3요소를 가진 배는 백제 이전 중국 동해안을 지배했던 번조선인들이 발명했을 가능성이 크다. ​ 백제가 韓[황하 동쪽..

역사 2023.03.11

똥이 된장되는 강단유사사학 (9.장수왕 한반도 남하 소설)

1. 사료 ​ 『三國史』 「髙句麗本紀」 長壽王 63년 九月, 王帥兵三萬, 侵百濟, 䧟王所都漢城, 殺其王扶餘慶, 虜男女八千而歸.​ 63년(475) 9월에 왕이 군대 30,000명을 거느리고 백제를 침공하여, 〔백제〕왕이 도읍한 한성(漢城)을 함락시키고, 그 왕 부여경(扶餘慶)을 죽이고 남녀 8,000명을 사로잡아 돌아왔다. ​ 『三國史』 「百濟本紀」 武寧王 二十三年, 春二月, 王幸漢城, 命佐平因友·逹率沙烏等, 徴漢北州郡民年十五歳已上, 築雙峴城. 三月, 至自漢城. 23년(523) 봄 2월에 왕이 한성으로 가서 좌평 인우(因友)와 달솔 사오(沙烏) 등에게 명령하여 15세 이상 되는 한수 이북 주·군의 백성들을 징발하여 쌍현성(雙峴城)을 쌓게 하였다. 3월에 왕이 한성에서 돌아왔다. ​ 『三國史』 「百濟本紀」 ..

역사 2023.03.10

여말선초 왜구는 열도와는 무관한 중국동해안의 백제유민

원의 쿠빌라이는 사무역을 금지하고, 관민 합자의 무역선(관7, 민3)만 허용하였지만, 성종은 해금을 철회하고 적성국이었던 일본과의 무역까지 허용하였으면서도, 백제유민과 고려와의 왕래는 금지시켰다. 김성호, 『중국 진출 백제인의 해상활동 천오백년 2』, 맑은소리, 1996. 176-179쪽. ​ 고려와 백제유민이 결합할 경우 원의 통치에 위협이 될 것으로 우려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원나라 말엽인 1348년부터 백제유민인 방국진과 장사성은 원의 쇠약을 틈타 독자세력화 하였지만, 주원장이 이들을 제압하고, 1368년 즉위하여 백제유민의 본거지격이었던 주산군도를 철저히 파괴하고 해금정책을 실시하자, 생활기반이 파괴된 백제유민은 해적이 되었다. 김성호, 위 책, 189-210쪽. ​ 명나라는 이들을 왜구라 불렀다..

역사 2023.03.09

이문영의 요동반도백제에 대한 반응

이문영 블로그http://orumi.egloos.com/에 요동반도는 백제 땅이었다고 했더니[똥이 된장되는 강단유사사학 (5.요동반도 백제) 내용 제시] 이문영이 다음과 같은 말을 적고 저를 차단했습니다. ​ ----------------------- 어떤 바보가 백제가 요동반도에 있다는 썰을 달아놓았기에 차단 삭제했습니다. 이런 사람들의 특징은 변함이 없네요. 자기 해석에 유리하다고 생각되는 사료들만 모아다가 봐라, 맞지라고 말합니다. 그렇게 하면 여기 낚이는 사람들이 우와, 증거가 이렇게 많아라고 말하게 되죠. 그러면 자기 주장이 사실이 된 것처럼 우쭐해지고요. 백제 서쪽에 바다가 있다는 사실은 저 멀리서 남의 나라 이야기를 건성으로 듣고 쓴 책보다 우리 조상들이 남긴 삼국사기에 자세히 나오니까 그렇..

역사 2023.03.08

고려와 백제유민

김성호, 『중국 진출 백제인의 해상활동 천오백년』 제1부에서 많은 부분을 인용함 ​ 왕건의 증조부는 753년 패강(浿江)의 서쪽 나루터에 와서, 배 안에서 돈을 꺼내어 뿌리고 상륙하였다. 『고려사』 「고려세계」 唐肅宗皇帝潛邸時, 欲遍遊山川, 以明皇天寶十二載癸巳春, 涉海到浿江西浦. 方潮退, 江渚泥淖, 從官取舟中錢, 布之, 乃登岸. 後名其浦爲錢浦 ​ 그는 왕건의 증조모에게 자신이 당나라의 귀인이라 말하고 떠나갔다. 『고려사』 「고려세계」 我是大唐貴姓 당귀인이 당나라에서 왔으며 배에 돈을 싣고 다녔다는 것은 그가 중국 동해안에 근거지를 둔 백제유민 무역상임을 의미한다. 김성호, 『중국 진출 백제인의 해상활동 천오백년 1』, 맑은소리, 1996. 214쪽. ​ 『고려사』가 인용한 『편년통감』과 『편년강목』은 왕..

역사 2023.03.08

똥이 된장되는 강단유사사학 (8.대만은 백제 영토였다)

1. 사료 ​ ㅇ 『수서』 「동이열전」 백제조 ​ 平陳之歲(589년), 有一戰船漂至海東牟羅國, 其船得還, 經于百濟, 昌資送之甚厚, 幷遣使奉表賀平陳 “陳을 평정한 해에 어떤 戰船 한척이 표류하여 바다 동쪽의 타모라국(𨈭牟羅國)에 닿았다. 그 배가 돌아올 적에 百濟를 경유하니, 昌이 필수품을 매우 후하게 주어 보냈다. 아울러 使臣을 보내어 表文을 올려 陳을 평정한 것을 축하하였다” ​ 其南海行三月, 有𨈭牟羅國, 南北千餘里, 東西數百里, 土多麞鹿, 附庸於百濟. “그 나라의 남쪽에서 바다로 석달을 가면 타모라국(𨈭牟羅國)이 있는데, 남북으로는 천여리이고 동서로는 수백리이며, 토산물로는 노루와 사슴이 많다. 百濟에 附庸되어 있다 ​ ㅇ 『삼국사기』 「백제본기」 위덕왕 36년 (589년) ​ 有一戰舩, 漂至躭牟羅國..

역사 2023.03.07

오월국(吳越國)과 무염선원(無染禪院)

오월국은 절강성에 전류(錢鏐)가 세운 나라이다. 전류는 852년 절강성 임안(臨安)에서 태어나 소금장수를 하다가, 혼란기 관리가 되어 황소의 난을 진압하고 그 공로로 진해군절도사겸윤주자사가 되어 893년 절강지역의 실권을 장악하였다. 주경미, 「吳越國과 韓半島의 佛敎文化 交流 新論」, 『역사와경계 106』, 2018. 207쪽. ​ 전류는 907년 후량으로부터 오월왕으로 봉작을 받지만, 893년부터 절강지역을 실질적으로 통치하였고, 주경미, 위 글, 207쪽. ​ 전류의 손자 전홍숙이 978년 북송에 나라를 바쳐 오월국은 사라지게 되었다. 오월국의 영역은 항주와 주산군도 등 백제유민이 가장 많이 활동했던 곳이다. ​ 북경 중국국가도서관에 당무염선원비(唐無染禪院碑)의 탁본이 전해지는데, 주경미, 위 글, ..

역사 2023.03.06

똥이 된장되는 강단유사사학 (7.낙랑군 점령국의 변동)

1. 강단유사사학이 주장하는 낙랑군 이동의 소설성 ​ 미천왕이 313년 낙랑군을 314년 대방군을 점령하여 고구려의 영토로 하였고 낙랑군은 어딘가로 이동되었다고 주장하며, 근거로 삼국사기와 자치통감의 다음 기사를 제시한다. ​ (1) 『삼국사기』 「髙句麗本紀」 美川王 十四年, 冬十月, 侵樂悢郡, 虜獲男女二千餘口. 美川王 十五年秋九月 南侵帶方郡. 낙랑군을 침략하여 남녀 2천명을 포로로 잡아왔다, 대방군을 침공했다 ​ 기사에 고구려가 점령했다고 쓰여 있지는 않다. 전혀 근거가 되지 않는다. ​ (2) ​『자치통감』 권88 진기10 효민황제(孝愍皇帝) 상 건흥(建興) 원년 夏,四月 --- 王浚使棗嵩督諸軍屯易水,召段疾陸眷,欲與之共擊石勒。疾陸眷不至,浚怒,以重幣賂拓跋猗盧,並檄慕容廆等共討疾陸眷。猗盧遣右賢王六修將兵會之..

역사 2023.03.05

똥이 된장되는 강단유사사학 (6.낙랑군 설치 위치)

1. 사료 ​ 『사기』 「조선열전」 朝鮮王滿者,故燕人也。自始全燕時 嘗略屬真番朝鮮, 為置吏築鄣塞。秦滅燕,屬遼東外徼。漢興,為其遠難守,復修遼東故塞,至浿水為界,屬燕 [朝鮮王 滿은 옛날 燕나라 사람이다. 전 연의 시기에 진정(自) 처음(始)으로, 진번조선을 침략하여 속하게 함을 경험하였다. 관리를 두고 장새를 쌓으려 하였다. 秦이 燕을 멸한 뒤에는 遼東外徼에 소속시켰는데, 漢이 일어나서는 그곳이 멀어 지키기 어려우므로, 다시 요동의 옛 요새를 수리하고 浿水에 이르러 경계로 하고 燕에 소속시켰다.] 燕王盧綰反, 入匈奴, 滿亡命, 聚黨千餘人, 魋結蠻夷服而東走出塞, 渡浿水, 居秦故空地上下鄣 [燕王 盧綰이 漢을 배반하고 匈奴로 들어가자 滿도 망명하였다. 무리 千餘人을 모아 북상투에 오랑캐의 복장을 하고서, 동쪽으로 새를..

역사 2023.03.04

도미부부가 도망간 천성(泉城)

개루왕(蓋婁王)(128~166년)이 도미의 부인을 취하지 못하자 도미를 눈멀게 하였다. 도미부부는 천성도(泉城島)로 도망갔다. 675년 가을 9월에 설인귀(薛仁貴)가 쳐들어왔다가 패퇴한 곳은 천성(泉城)이다. 설인귀가 해군을 이끌고 온 천성은 『삼국사』 「도미열전」의 도미부부가 배를 타고 온 천성도와 같은 곳이다. ​ 요동반도백제는 서기 22년 이전부터 백제의 영토였는데, 도미부부는 백제 수도(韓지역의 한성)와 요동반도간 자주 있었던 백제의 무역선을 타고 요동반도의 부속도서의 하나인 천성도로 도망갔을 것이다. 요동반도에서도 고구려로 쉽게 갈 수 있으므로 도미부부가 고구려로 갔다는 열전의 내용과도 일치한다. ​ 강단유사사학은 천성을 한강과 임진강 하구의 어느 지점으로 본다. 그러나 그들의 견해에 의하면 한..

역사 2023.03.04

똥이 된장되는 강단유사사학 (5)

1. 사료 ​ 『사기정의』가 인용하는 『괄지지』에 “백제국 서남 발해 중에 큰섬 15개가 있는데 모두 읍락이 있고 사람이 거주한다. 백제에 속한다.” 【正義】括地志云:「百濟國西南渤海中有大島十五所,皆邑落有人居,屬百濟。」 ​ 『三國史』 「百濟本紀」 義慈王 麟德二年, 與新羅王㑹熊津城, 刑白馬以盟. 仁軌爲盟辭, 乃作金書鐡契, 藏新羅廟中, 盟辭見新羅紀中. 仁願等還, 隆畏衆㩗散, 亦歸京師. 儀鳳中, 以隆爲熊津都督·帶方郡王, 遣歸國, 安輯餘衆. 仍移安東都護府於新城以統之. 時新羅強, 隆不敢入舊國, 寄理髙句麗死. 武后又以其孫敬襲王, 而其地已爲新羅·渤海靺鞨所分, 國系遂絶. [[당나라] 인덕(麟德) 2년, 융(隆)이 신라 왕과 웅진성에서 만나 흰 말을 잡아 맹세하였다. 인궤가 맹세하는 글을 지었으며, 이것을 금으로 새기고,..

역사 2023.03.03

이사부는 둘이었다

김부식은 이사부가 한 사람이라 생각하고 이사부 열전을 썼다. ​ 고성이 502년 신라에 점령되었다는 고성김씨 족보의 기록은 성씨뉴스닷컴 (http://www.sungssi.com) (2022.4.29. 현재) “소가야국(小伽倻國)은 건국후 460여년 동안 지속되어 오다가 소가야국(小伽倻國)제 9대 이형왕(而衡王) 29년 신라(新羅) 지증왕 3년(서기 502년) 신라에 패하여 읍성(邑城)을 내주었다.” 이사부가 지증왕(500-514) 때 가야를 취하였다는 열전의 기록과 『삼국사』 「이사부열전」 智度路王時, 爲㳂邉官. 襲居道權謀, 以馬戲誤加耶 或云加羅國, 取之 [지도로왕 때 연해 변경 지역의 지방관(干)이 되었다. 거도(居道)의 임기응변의 꾀를 답습하여 마희(馬戱)로써 가야국(加耶國) [가야(加耶)는] 혹은..

역사 2023.03.03

똥이 된장되는 강단유사사학 (4)

1. 사료 ​ 동천왕은 관구검에 패한 후 247년 환도성에서 평양성으로 천도하였다. ​ 『三國史』 「髙句麗本紀」 東川王 二十一年, 春二月, 王以丸都城經亂, 不可復都, 築平壤城, 移民及廟社. [21년(247) 봄 2월에 왕이 환도성이 전란을 겪어 다시 도읍으로 삼을 수 없다고 하여, 평양성(平壤城)을 쌓고 백성과 종묘(宗廟)와 사직(社稷)을 옮겼다.] ​ 2. 강단유사사학의 똥설 ​ 강단유사사학의 평양은 현재의 평양이다. 강단유사사학의 소설 속 낙랑군은 313년까지는 지금의 평양에 존재하는데, 그들은 동천왕이 위나라에 크게 패한 후 수도를 집안에서 위나라 영토인 낙랑군 바로 코앞인 대동강 북쪽으로 옮긴다고 한다. 그들의 소설에서 낙랑군은 대동강 남쪽에 있다. ​ 강단유사사학 종사자들도 이러한 소설에는 낯이..

역사 2023.03.02

당나라 동해안의 백제유민

백제는 환황해, 열도, 동남아를 아우르는 해양 무역세력이었지만, 백제의 무역활동을 구체적으로 기술하는 사료는 의자왕의 바둑판, 바둑판인 목화자단기국과 바둑돌인 홍감아발루기자, 바둑통인 은평탈합자는 상아 자단 등 남방의 재료가 사용되고 열대 동식물이 그려져 있어 백제의 무역활동범위가 동남아까지 이르렀음을 증명한다. 안영이는 『다시 쓰는 한국바둑사-한국바둑 2000년의 비밀』(한국기원, 2005)에서 바둑판의 화점이 17개이고 홍아와 감아가 각각 150개라는 점을(순장바둑에선 180개가 아니라 150개만 있으면 충분하다) 근거로 백제에서 우리 고유의 순장바둑용으로 제작된 것이라 한다. (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 2012.04.19. 입력 기사)​ 성왕이 왜왕에게 부남(扶南)의..

역사 2023.03.02

똥이 된장되는 강단유사사학 (3)

1. 사료 ​ ㅇ 『삼국지』 「위서 관구검전」, 過沃沮千有餘里,至肅慎氏南界,刻石紀功 ㅇ 『양서』 「동이전」,고구려조, 絕 沃沮千餘里,到肅慎南界,刻石紀功 ㅇ 『북사』 「고구려전」 絕 沃沮千餘里,到肅慎南,刻石紀功 ㅇ 『資治通鑑』 卷75, 魏紀 7, 正始7年, 過沃沮千有餘里, 至肅愼氏南界, 刻石紀功而還 ​ 모든 사서가 관구검이 고구려를 공격하여 옥저를 지나(過) 또는 가로질러(絕) 천여리를 가서 숙신의 남계에 공을 기록하였다는 내용 ​ ㅇ 관구검기공비가 집안 판석령에서 발견되었다 ​ 2. 강단유사사학의 똥설 ​ 강단유사사학은 오늘날 함경남도 함흥 일대는 동옥저, 두만강 하류 유역은 북옥저라 한다.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데이터베이스(http://db.history.go.kr) 『삼국사』 고구려 낙랑국 정벌에 대..

역사 2023.03.01

고구려와 후한 [대무신왕과 유수의 일승일패, 모본왕 시부터 후한은 60년간 고구려에 조공]

고구려는 新으로부터 벗어나 서기 18년 이전에 요동고새까지 회복하고, 서기 22년 동부여를 복속시키고 서기 32년 낙랑국을 정벌하여 동북방을 평정하였다. 新이 망한 후 혼란기인 서기 28년 요동태수가 고구려를 공격하였으나 피해는 없었다. 『三國史』 「髙句麗本紀」 大武神王 十一年, 秋七月, 漢遼東大守, 將兵來伐 --- 遂引退. ​ 고구려가 요동고새까지 영토로 하였으므로, 이 때의 요동군은 중역수 하류의 남쪽이다. 대무신왕은 서기 37년에 요동고새를 넘어 낙랑군을 점령하였다. 『三國史』 「髙句麗本紀」 大武神王 二十年, 王襲樂浪滅之. ​ 유수가 중국을 평정한 후 서기 44년 낙랑군을 고구려로부터 회복하고 살수 이남까지 차지하였다. 『三國史』 「髙句麗本紀」 大武神王 二十七年, 秋九月, 漢光武帝遣兵渡海伐樂浪, 取..

역사 2023.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