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95

강단유사사학의 낚시에 걸리면 안 된다.

강단의 현혹스런 글에 혼란스런 분이 계신 것 같아 강단유사사학의 글에 대해 반론합니다. 다음 글은 강단유사사학의 글입니다. ------------------------------ -서의식 서울대 역사교육학과 교수 신라의 국가 형성 과정을 이해하는 관건은 6촌의 성격과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는데 있다. 6촌이 어디에 있던 무엇인지가 분명해져야 이를 토대로 성립했다는 신라의 형성과 발전 과정을 정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관련 자료가 워낙 영성하여 이를 밝히는 데 어려움이 많다. 게다가 우리 사서와 중국 사서의 내용이 서로 상치하는 듯 보여 혼란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렇지만 역사적 진실은 양측 사서의 내용을 모두 긍정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한국 고대사회의 발전을 계기적으로 설명할 수..

역사 2023.03.29

똥이 된장되는 강단유사사학 (14. 진경대사탑비)

1. 사료 ​ 임나=가야설은 진경대사탑비에 나타나는 임나가 금관가야를 의미한다고 한다.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데이터베이스(http://db.history.go.kr) 「진경대사탑비」 국역문 주석은 다음과 같다. (2022.4.25. 현재) 이 비문의 내용은 임나가 본래 김해에 있던 금관국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는 견해의 유력한 근거로 활용되고 있다. ​ 비문의 관련된 부분과 그에 대한 임나=가야설의 해석은 다음과 같다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데이터베이스(http://db.history.go.kr) 「진경대사탑비」 표점문과 국역문 (2022.4.25. 현재) ​ ​ 大師諱審希, 俗姓新金氏. 其先, 任那王族, 草拔聖枝, 每苦隣兵, 投於我國. 遠祖興武大王, 鼇山稟氣・鰈水騰精, 握文符而出自相庭, 携武略而高扶王室, ..

역사 2023.03.28

임나4현에 있었던, 그러나 안타깝게도 멸종된 우리의 닭과 개

일제와 강단유사사학은 임나4현에 대해 음상사를 통해 임나4현을 경남, 전북, 충남, 경북, 전남, 부산 등 다양한 위치에 비정하는데, 김태식, 『사국시대의 가야사 연구』, 서경문화사, 2014. 180쪽. ​ 강단유사사학은 주로 전남 일원이나 섬진강 유역의 전남 동부지역으로 비정한다.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데이터베이스(http://db.history.go.kr) 『國史館論叢 第91輯 > 전남지역 고대문화의 성격(최성락) > 3. 전남지역 고대문화의 배경 > 2) 문헌적 배경』 ​ 위치보다 중요한 것은 이들이 공통적으로 현을 군단위로 보아 4현을 4군 정도의 영역으로 본다는 것이다. 그러나 원문은 임나4현을 4군 정도의 크기로 보지 않고 있다. 이들이 근거로 하는 「일본서기」 원문은 다음과 같다. ​ 「일..

역사 2023.03.25

과대평가된 정약용

정약용은 과대평가되었다. 신분제를 옹호하고, '주역사전'과 '상례사전(喪禮四箋)'을 자신의 가장 중요한 저서로 생각하였다고 한다. 이는 그가 기본적으로 고루한 성리학자였음을 의미한다. ​ 여전제를 주장하였다가 정전제를 주장하였다는데, 정전제도 이상적인 제도에 불과하고, 지속가능한 제도가 아니라는 점에서 정약용이 살았던 시대를 감안하면 고루한 제안에 불과하다. ​ 서양의 과학기술을 통한 근본적 생산력 증대와 상공업의 발전을 주장했어야 하는 시대에 살았으므로 그를 선각자라 하기는 어렵다. 백성을 통제대상으로 보고 지배층의 도덕을 해결책으로 제시한 것은 공자의 사상에서 조금도 나아가지 못했음을 의미한다. 일본이 유학이 발달되어 조선을 침략하지 않을 것이라 한 것은 그의 현실감각의 수준을 단적으로 말해준다. ​..

역사 2023.03.24

똥이 된장되는 강단유사사학 (13. 초기 신라와 낙랑군)

1. 사료 ​ 『三國史』 「新羅本紀」 赫居世 居西干 30년 樂浪人將兵來侵. 見邊人夜户不扃, 露積被野, 相謂曰, “此方民不相盗, 可謂有道之國. 吾儕濳師而襲之, 無異於盗, 得不愧乎.” 乃引還. 〔30년(B.C. 28)〕 낙랑인(樂浪人)이 병사를 이끌고 침략해 왔다. 변경 사람들이 밤에 문을 걸어 잠그지 않고 곡식도 한데에 쌓아 들판에 널린 것을 보고서 서로 말하기를, “이곳의 백성들은 서로 도둑질을 하지 않으니, 가히 도(道)가 있는 나라라고 할 수 있다. 우리가 군사를 몰래 내어 습격하는 것은 도적이나 다를 바 없으니 부끄럽지 않겠는가?”라고 하며 병사를 물려서 돌아갔다. ​ 『三國史』 「新羅本紀」 南解 次次雄 元年, 秋七月, 樂浪兵至, 國金城數重, 王謂左右曰, “二聖弃國, 孤以國人推戴, 謬居於位, 危懼若..

역사 2023.03.23

하백은 누구인가?

1. 대부여의 하백 ​ 서기전 425년 신조선(삼조선 시기 요서 있던 조선)은 대부여로 변화한다. 『단군세기』는 이를 백민성 욕살이었던 구물의 집권과 국호의 변경으로 기술하고 있다. 『단군세기』 44세단군, 丘勿, 為諸將所推, 乃於三月十六日, 築壇祭天, 遂即位于藏唐京。改國號爲大夫餘 ​ 그러나 『삼국유사』가 단군의 수명을 1908세라 하므로 신조선이 망하고 새로운 왕조가 들어섰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이는 대부여의 건국설화에서 나타난다. ​ (ㄱ) 『삼국유사』가 인용하는 『단군기』 壇君記云 “君與西河河伯之女要親, 有産子名曰夫婁.” 今拠此記, 則解慕漱私河伯之女而後産朱蒙. 壇君記云 “産子名曰夫婁”, 夫婁與朱蒙異母兄弟也. ≪단군기(檀君記)≫에 이르기를 “[단]군(君)이 서하(西河) 하백의 딸과 상관하여 아이를..

역사 2023.03.21

똥이 된장되는 강단유사사학 (12. 창녕비)

창녕비문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데이터베이스(http://db.history.go.kr)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 해제」 표점문과 해석문은 다음과 같다. (2022.11.25. 현재) ​ 辛巳年二月一日立. 寡人幼年承基, 政委輔弼. 侅智行悉 事末▨▨立▨▨▨赦▨▨▨▨▨四方▨改囚▨後地土▨陜也. 古▨▨▨不▨▨▨▨▨▨▨▨▨▨▨▨▨▨▨人普▨山▨心▨, 取利除林, ▨▨▨▨▨▨▨▨▨▨▨▨▨▨▨▨▨此▨州▨▨而已. 土地彊域山林▨▨▨▨▨▨▨▨▨也. 大等与軍主幢主道使与外村主, 審照. 故▨▨▨▨▨▨▨▨▨▨, 海州白田畓▨▨, 与山塩河川, ▨敎以▨▨▨▨▨▨▨▨▨▨▨▨▨▨▨▨▨▨人 照之. 雖不▨▨▨▨▨▨▨▨▨▨心▨▨河▨▨▨▨▨于之. 其餘少小事, 知古▨氵▨▨▨▨▨者▨▨以, 上大等与古奈末典, 法選▨人与上▨▨▨▨▨▨▨▨▨▨▨▨此以▨▨看其..

역사 2023.03.20

왜5왕은 누구인가

1. 관료로서의 왜왕 ​ 김부식은 『삼국사』에서 왜왕 취임이나 백제 왕족이 열도에 공무로 출장가는 것을 인질로 표현했고 왜왕의 보고와 왜왕에 대한 지시를 사신(외교관계)으로 표현했다. 이는 「일본서기」를 역사서로 간주한 김부식의 무지로 인해 생긴 표현이다. 그는 백제의 관직명 ‘왜왕’을 왜국의 왕으로 생각하였다. 낙랑군이 요양이라고 생각하여 대륙백제의 사료를 싣지 않았던 것처럼, 김부식은 올바른 원사료를 변개(김부식의 생각에선 오류를 수정)하였거나 올바른 사료를 버리고 「일본서기」와 같은 그른 사료를 채택하여 기록하였다. ​ 아신왕이 397년 왜국과 우호관계를 맺고 태자를 인질로 보냈다는 것은 『三國史』 「百濟本紀」 阿莘王 六年, 夏五月, 王與倭國結好, 以太子腆支爲質. 태자가 왜왕으로 취임하였음을 의미한..

역사 2023.03.18

똥이 된장되는 강단유사사학 (11. 일본 ≠ 왜 대왜 대화)

1. 일본서기 왜 대왜 관련 부분의 왜와 일본천황의 관계 ​ㅇ 신무의 동쪽 정벌: 적들에 의해 길이 막히자, 제사를 지냄 날짜(신무 즉위전기) B.C.663년 9월 5일 9월 갑자삭 무진(5일)에 천황이 토전의 고창산(高倉山;타카쿠라야마) 꼭대기에 올라가서 나라 안을 바라보았다. --- 적의 거점은 다 중요한 땅이었다. 그래서 길이 차단되어 지나가려해도 방법이 없었다. 천황은 이런 상황이 싫어 그날 저녁 신(神)의 뜻을 알려 달라고 빌고 잤다. 그러자 꿈에 천신(天神)이 나타나서--- 천황이 삼가 꿈의 가르침을 받들어 그대로 실행하려고 하였다. 그때 또 제활이 “왜국(倭國)의 기성읍(磯城邑)에는 기성(磯城)의 팔십효수(八十梟師)가 있고 또 고미장읍(高尾張邑;타카워하리노무라)[어떤 책(或本)에서는 갈성읍(..

역사 2023.03.16

한국인의 기원 지역

1. 강단유사사학 동이족은 중국의 서북부에서 수렵생활을 하다가 동으로 이동해, 한 줄기는 산동반도(山東半島) 방면으로, 다른 한 줄기는 다시 동으로 나와 만주·한반도 일대에 분포하였다고 주장하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 東夷 설명 (2022.1.14. 현재),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데이터베이스(http://db.history.go.kr) 『후한서』 「동이열전」 ‘夷’에 대한 주석 (2022.1.14. 현재) “東夷는 원래 중국의 서북부에 있다가 동쪽으로 이동, 한 갈래는 山東半島 쪽으로 들어가고, 다른 한 갈래는 다시 東進, 渤海灣을 따라서 遼東 지방을 거쳐 韓半島에 들어오게 된 것이다.(金庠基,「韓·濊·貊 移動考」)” 동이의 기원이 한반도임을 부정한다. ..

역사 2023.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