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 3

왕검성은 낙랑군이 되었는가?

주석을 보시려면 첨부된 화일을 보셔야 합니다. 1. 서 『사기』와 『한서』에 의하면 왕검성과 낙랑군의 위치는 다르다. 『한서』 「지리지」의 주석자들은 왕검성에 요동군을 설치했다고 한다. 즉 예맥조선이 망한 후 왕검성은 요동군 검독현이 되었다. 그러나 일제·강단유사사학은 왕검성에 낙랑군이 설치되었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합리적 근거를 전혀 제시하지 않고 그냥 우긴다. 최초로 사료적 근거를 제시하려고 시도한 이가 서영수이다. 그러나 서영수의 글엔 전혀 논리가 없어, 그의 글은 그냥 우기는 것과 거의 차이가 없다. 본고는 왕검성과 낙랑군의 위치가 명백히 다름을 논증하고, 서영수 글의 유사사학성을 제시한다. 낙랑군 평양설이 왕검성 낙랑군설에 근거하고 있어, 왕검성 낙랑군설이 무너지면 낙랑군 평양설도 당연히 근거를..

역사 2024.03.14

유사학술지 역사비평에 낙랑군 논문 제출

https://taxecolaw.tistory.com/265 낙랑군은 처음부터 보정시에 있었고 313년에 이동한 적도 없다 (이정빈에 대한 반론) 1. 서 본고는 이정빈의 논문에 대한 반론이다. 이정빈은 낙랑군이 4세기 전반 대동강 유역에서 요서 지역으로 교치되었고, 5세기 전반 요서 지역에서 난하 유역으로 교치되었다고 주장한다. 그러 taxecolaw.tistory.com 유사학술지 역사비평에 위 논문을 제출하였습니다. ​ 물론 그들이 게재하리라 생각은 않지만 게재 거부 과정에서 나타날 그들의 조선총독부 기관지성을 드러내기 위해 투고하였습니다. ​ 향후 그들의 심사문 등을 계속하여 올리겠습니다.

역사 2024.03.08

유사학술지 역사비평사의 이의신청에 대한 답변

예상대로 역사비평이 유사학술지로서 매국노의 주구라는 것을 자인하는 답변을 보내왔습니다. ​ 여러 개소리를 지껄이면서 강단유사사학을 끝까지 옹호하는 행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 개소리의 백미는 ​ "‘발해’의 문제는 단순히 단어가 빠져있는 것에 대한 문제제기가 아니며, 투고자의 사료 이용 방법의 자의성을 지적한 것입니다." ​ 이 개소리는 이의신청 답변자가 멍꿀상태라는 것을 유감없이 보여주고 있습니다. 학술지의 편집 관련 사람이 멍꿀이라는 것은 우리 나라의 지적 수준을 나타냅니다. ​ 사기 하본기에 대한 주석에서 인용한 괄지지 문구는 "百濟國西南渤海中有大島十五所, 皆邑落有人居, 屬百濟" 이고 ​ 사기 오제본기에 대한 주석에서 인용한 괄지지 문구와 한원이 인용한 괄지지 문구는 "百濟國西南海中有大島十五所, 皆..

역사 2024.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