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보현십원가 常隨佛學歌 최초 완전 해독

역사회복 2024. 12. 7. 10:19

我仏体                                     우리 부텨

皆 往焉 世呂 修將來賜留隱     모ᄃᆞᆫ 니건 누리 다ᇧ디니오시론

難行苦行叱 願乙                      難行苦行ㅅ 願을

吾焉 頓部叱 逐好 友伊音叱多  난 頓部叱 좆호 르다

身 靡只碎良只 塵伊 去米         몸 ᄀᆞᆰᄇᆞᅀᅡᆨ 드틀뎌 가매

命乙 施好尸 歲史中置             命을 施홀 나시ᄒᆡ두

然叱皆 好尸 卜下里                 그럿귀 홀 디냐리

皆 仏体置 然叱為賜隱伊留兮  모ᄃᆞᆫ 부텨도 그럿ᄒᆞ신이로혜

城上人 佛道 向隱 心 下           아야, 佛道 아ᇫᄋᆞᆫ ᄆᆞᅀᆞᆷ 아래

他道 不冬 斜良只 行齊            녀느길 안ᄃᆞᆯ 빗걱 녀져

 

우리 부처님

모든 지난 세상 닦아오신

難行苦行의 願을

나는 모두 좇아 따릅니다.

 

몸 갈고 부숴 티끌 되어 가니

목숨을 놓을 나이에도

그렇게 함을 떠맡으리.

모든 부처님도 그러하셨구나.

 

아! 불도 향한 마음 아래

다른 길로 아니 빗겨 가고자 합니다.

 

1) 修將來賜留隱: 留는 매개자음 ‘ㄹ’과 의도형 어미 ‘오’가 합쳐진 것으로 볼 수 있다. 김지오도 ‘오’의 이형태라 한다.

2) 友伊音叱多: 김지오를 따라 友를 ‘따르다’의 의미로 본다. 서술어를 명사형태로 말한 것이다. 명사형이라 하여 여기에 당위의 뜻이 있다고 할 수는 없다.

3) 靡只碎良只 : 신재홍을 따라 ‘ᄀᆞᆰᄇᆞᅀᅡᆨ’으로 읽고, ‘갈고 부숴’로 풀이한다.

4) 塵伊 去米: 김완진을 따라 ‘드틀뎌 가매’로 읽고, ‘티끌 되어 가매’로 풀이한다.

5) 歲史中置: 歲는 ‘나이’의 뜻이 있고, 나이의 사투리가 ‘나시’이다. 따라서 歲史를 ‘나시’로 읽고, ‘나이’로 풀이한다. 歲史를 ‘사이’로 풀이하기도 하나, 歲와 ‘사이’가 무관하며, 칭찬여래가 8행에서 ‘사이’는 間으로 표기하고 있으므로 수용하기 어렵다. 또한 ‘죽는 순간’이라는 말은 있어도 ‘죽는 사이’란 말은 없었다.

6) 然叱為賜隱伊留兮: 然叱為賜隱은 ‘그러하심’이고, 伊은 계사 ‘이’이다. 留兮는 김지오를 따라 감탄의 의미로 이해한다.

『향가 등 우리 고시가 완전 해독』에서 인용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