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nāḷ ,
고대 타밀어: n. 1. Day of 24 hours; 2. Time; 5. Early dawn;
9. Freshness, newness; 10. Youth, juvenility, tenderness;
날(24시간)과 같음은 물론
접두사 날과도 정확히 일치: 익히는 등의 가공을 하지 않은 것(날것),
교육을 받지 않았거나 경험이 없어 어떤 일에 서투른(날뜨기)
2. ku
(에)게란 의미의 조사인데,
시간의미로도 사용: 594(톨) kālattiṉ aṟiyum vēṟṟumai kiḷaviyum (시간에서 알리는 격 어구)
kālaikku varum 아침께 옴
우리말 (에)게와 같음,
접미사 ‘께’(그때 또는 장소에서 가까운 범위’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와도 일치 (아침께)
3. kēḷ-,
v. tr. 1. To hear, listen to; 2. To learn, be instructed in; 9. To effect a remedy, cure, as medicine;
— intr. 1. To come under the control of; to be cured; 2. To obey, be submissive, docile;
듣다: 소리를 듣다, 어떤 내용을 배우다, 다른 이의 말을 받아들이다, 약 따위가 효험을 나타내다
☆☆☆☆ 1, 2, 3, 은 동일 언어가 아니면 불가능한 현상임 ☆☆☆☆☆
4. ari- ,
v. intr. To have an acute itching sensation; (아리다)
아리랑의 아리가 아리다의 의미임 (아리가 고대에도 사용되었고, 쓰리다와 댓구를 이루므로)
5. cūḻ- ,
v. tr. 1. To encompass, surround, envelope; 2. To go round
강강술래의 술과 일치, 즉 강강술래의 술은 돌다의 의미
6. 문장 마지막 에
742(톨) tēṟṟam viṉāvē pirinilai eṇṇē īṟṟacai iv aintu ēkārammē. 확실성 질문 분리(-만) 열거 끝acai 이 다섯은 ē
경상도 방언과 거의 일치, 경상도에서 ‘에’가 질문, 문장끝, 확실성(강조)으로 사용
[경상도는 타 지역에 비해 고립되어 우리 고어가 더 잘 보존된 것으로 추측됨]
7. mā = 馬, cā(사) = 死, taṉi- = 單, mēlai = 未來, teru = 大路
소위 한문의 발음이 중국 동부 지역의 우리민족 방언일 가능성
8. 531(톨) iraṭṭaikkiḷavi iraṭṭiṉ pirintu icaiyā. 쌍어구 중복에서 분리하여 표현하지않음
[소복소복 아롱아롱 아장아장 엉금엉금 멍멍 퍼덕퍼덕 등 우리말과 같다]
지금까지, 톨카피얌과 아인쿠루누루만을 해독한 상태에서 발견한 것임. 고대 타밀 문학 전부를 해독한다면 더 많은 증거들이 발견될 것임.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상고사 주요 보완 내용 (17) - 재야유사사학의 충격적 행태 (0) | 2025.04.27 |
---|---|
한상고사 주요 보완 내용 (16) - 경인명도도 백제의 열도 지배를 말한다 (0) | 2025.04.26 |
한상고사 주요 보완 내용 (15) - 강단·일제유사사학의 열도와 한반도 남부 고대사 창작 (9) (1) | 2025.04.24 |
한상고사 주요 보완 내용 (14) - 강단·일제유사사학의 열도와 한반도 남부 고대사 창작 (8) (1) | 2025.04.23 |
한상고사 주요 보완 내용 (13) - 강단·일제유사사학의 열도와 한반도 남부 고대사 창작 (7) (0) | 2025.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