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증 상고사

  • 홈
  • 태그
  • 방명록

천무 1

왜5왕은 누구인가

1. 관료로서의 왜왕 ​ 김부식은 『삼국사』에서 왜왕 취임이나 백제 왕족이 열도에 공무로 출장가는 것을 인질로 표현했고 왜왕의 보고와 왜왕에 대한 지시를 사신(외교관계)으로 표현했다. 이는 「일본서기」를 역사서로 간주한 김부식의 무지로 인해 생긴 표현이다. 그는 백제의 관직명 ‘왜왕’을 왜국의 왕으로 생각하였다. 낙랑군이 요양이라고 생각하여 대륙백제의 사료를 싣지 않았던 것처럼, 김부식은 올바른 원사료를 변개(김부식의 생각에선 오류를 수정)하였거나 올바른 사료를 버리고 「일본서기」와 같은 그른 사료를 채택하여 기록하였다. ​ 아신왕이 397년 왜국과 우호관계를 맺고 태자를 인질로 보냈다는 것은 『三國史』 「百濟本紀」 阿莘王 六年, 夏五月, 王與倭國結好, 以太子腆支爲質. 태자가 왜왕으로 취임하였음을 의미한..

역사 2023.03.18
이전
1
다음
더보기

공지사항

  • 향가 등 우리 고시가 완전 해독 책 발간됨
  • 한 상고사 개정판 발간
  • First Scientific Decipherment ⋯
  • 역사 광복이 전쟁을 막는다
  • 정부 가야 백제 신라 고분군을 일제 임나설로 세계유산등⋯
프로필사진

실증 상고사

  • 분류 전체보기 (301)
    • 세법 (29)
    • 경제학 (6)
    • 복지 (11)
    • 역사 (244)
    • 시사 (9)
    • 잡학 (0)

Tag

부가가치세, 노동조합, 전라도 천년사, 강단유사사학, 요동고새, 대왜, 낙랑군, 백제유민, 일본서기, 갈석산,

최근글과 인기글

  • 최근글
  • 인기글

최근댓글

페이스북 트위터 플러그인

  • Facebook
  • Twitter

Archives

Calendar

«   2025/05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방문자수Total

  • Today :
  • Yesterday :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