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교 2

장영실은 백제 유민의 아들

백제 유민은 원나라 말 혼란기와 주원장의 해금정책으로 많은 사람들이 고려로 귀화하였다. ​ 백제 유민에 관한 사항은 이 블로그의 다음 글을 참조 https://taxecolaw.tistory.com/144 여말선초 왜구는 열도와는 무관한 중국동해안의 백제유민 장영실의 아버지는 세종실록에 원나라 소주 항주 사람이라 기재되어 있다. 에 의하면 장영실이 태어난 시기가 1393년이다. [강민경, 활자 주조를 감독한 신하 명단을 새긴 현판의 역사적 가치, 고궁문화 16호, 국립고궁박물관, 2023년] 의 기록을 모르고 있었을 때도 장영실이 1390년 무렵에 태어난 것으로 추측하고 있었다. ​ ​ 소주 항주가 백제유민 해상무역활동의 중심지였고, 장영실의 아버지가 고려로 이주한 시기가 백제 유민의 대규모 고려 귀화 ..

역사 2023.12.16

여말선초 왜구는 열도와는 무관한 중국동해안의 백제유민

원의 쿠빌라이는 사무역을 금지하고, 관민 합자의 무역선(관7, 민3)만 허용하였지만, 성종은 해금을 철회하고 적성국이었던 일본과의 무역까지 허용하였으면서도, 백제유민과 고려와의 왕래는 금지시켰다. 김성호, 『중국 진출 백제인의 해상활동 천오백년 2』, 맑은소리, 1996. 176-179쪽. ​ 고려와 백제유민이 결합할 경우 원의 통치에 위협이 될 것으로 우려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원나라 말엽인 1348년부터 백제유민인 방국진과 장사성은 원의 쇠약을 틈타 독자세력화 하였지만, 주원장이 이들을 제압하고, 1368년 즉위하여 백제유민의 본거지격이었던 주산군도를 철저히 파괴하고 해금정책을 실시하자, 생활기반이 파괴된 백제유민은 해적이 되었다. 김성호, 위 책, 189-210쪽. ​ 명나라는 이들을 왜구라 불렀다..

역사 2023.03.09